본문 바로가기
  • 영어를 배우는 데 도움이 되는 좋은 글과 자료입니다. That's all~ That's good~

한국어와 영어의 차이3

주소표기로 본 차이 주소표기로 본 한국어와 영어의 차이 우리나라 사람들에게 영어로 주소를 물으면 다들 자기 집 주소도 기억하지 못하는 사람처럼 한참 동안 고민한다. 머릿속에서 일단 우리말로 주소를 생각하고 그것을 끝에서부터 뒤집어 역순으로 말하기까지 상당한 시간이 걸리기 때문이다. 외국인이 보기에는 자기가 사는 집의 주소를 즉각적으로 말하지 못하는 모습이 이상해 보일지 모르지만, 우리 입장에서는 정반대의 순서대로 주소를 표기하다 보니 헷갈리는 것이 충분히 이해가 된다. 주소 표기의 경우 우리는 큰 단위에서부터 시작하지만 영어로는 내가 서 있는 곳에서부터 밖으로 한 단계씩 확장해 나가기 때문이다. 영어는 우리말과 달리 가장 가까운 것을 주어로 삼아 의미를 확장해나가는 순서를 철저히 지킨다. ‘주어에서부터 순서대로’라는 규칙만.. 2020. 11. 21.
식사 문화로 본 차이 식사 문화로 본 한국어와 영어의 차이 식사하는 방식만 봐도 차이가 크다. 우리는 한 상 떡하니 차려놓고 먹는 반면, 영어 원어민은 음식이 나오는 순서대로 하나씩 먹는다. 식생활 문화는 언어 문화와 일맥상통하는 부분이 많다. ‘은/는/이/가’, ‘을/를’ 같은 조사가 발달한 우리말의 경우, 조사가 내비게이션 역할을 해 단어를 문장 어디에 가져다놓아도 그 역할과 뜻을 파악할 수 있다. 예컨대 우리말은 ‘지하철은 약속 시간을 정확하게 지켜준다’, ‘약속 시간을 지하철은 지켜준다 정확하게’, ’정확하게 지켜준다 약속 시간을 지하철은’ 처럼 순서를 어떻게 바꾸든 이해하는 데는 지장이 없다. 한 상에 여러 음식이 정해진 위치나 순서 없이 차려져도 뭐가 밥이고 국이고 반찬인지 헷갈리지 않는 것과 비슷한 이치라고 하겠.. 2020. 11. 21.
한국어와 영어 어순의 차이 한국어와 영어 어순의 차이 사고방식을 알면 영어의 법칙이 보인다. 한국인이 다른 나라 사람들에 비해 영어 공부를 덜 할까? 그렇지 않다. 유치원 때부터 대학생까지, 그리고 성인이 되어서도 영어 공부를 손에서 놓지 못한다. 이토록 열심히 하는데도, 엄청난 시간과 돈을 투자하는데도 왜 한국인은 영어 실력이 낮을까? 가장 큰 이유는 기본적인 ‘언어 구조의 차이’ 때문이다. 영어와 한국어는 언어 구조가 많이 다르기 때문에 영어 원어민이 한국어를 배우기도 어렵고, 반대로 한국인이 영어를 배우기도 어렵다. 필자의 한 영어 원어민 친구는 대학 어학당에서 몇 년 동안 한국어를 배웠지만 실력이 별반 나아지지 않자 ‘내가 멍청한가’라는 생각이 들었다고 고백했다. 미국의 외교연구원에서 미국인이 배우기 어려운 정도에 따라 세.. 2020. 11. 21.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