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영어를 배우는 데 도움이 되는 좋은 글과 자료입니다. That's all~ That's good~

콩글리쉬9

영어식 우리말 표현 영어식 우리말 표현 영어 번역투 ① ~로부터 • 이탈리아로부터 온 명품 → 이탈리아에서 제작한/수입한 명품 ② ~에 의해/의한 • 인간에 의해 초래된 생태계의 변화 → 인간이 초래한 생태계의 변화 • 자기주도 학습 목적에 의한 학생들의 자발적 참여 → 자기주도 학습을 하고자 하는 학생들의 자발적 참여 ③ ~에 관한 • 새로운 정책 개발에 관한 문제점이 많다. → 새로운 정책 개발에/새로운 정책을 개발하는 데에 문제점이 많다. ④ ~을/를 가지다 • 유익한 시간을 가지다. → 유익한 시간을 보내다. • 나는 여행에 관심을 가졌다. → 나는 여행에 관심이 있다./있었다. ⑤ ~고 있다 • 태풍이 상륙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 태풍이 상륙할 것으로 예상된다. 무심코 쓰는 번역투 문장 (장선화의 교실밖 글쓰.. 2020. 12. 9.
어휘에서 나타나는 콩글리시 알아두면 좋은 콩글리시 콩글리시는 (Korean+English = Konglish) 한국어식 영어를 나타내는 말로 우리가 영어식 표현이라고 사용하는 말 중 원어민이 오해하거나 알아 들을수 없는 것을 말한다. 리모컨 - 영어권에서는 "remote control"이라고 영어권에서 "remote" 로 줄여서 사용되는 때도 있다. 미니 앨범 - 영어권에서는 "extended play"라고 한다. 미싱 - 영어권에서는 "sewing machine"이라고 한다. 순화 용어로 재봉틀이 제시된다. 아파트 - 현재 표준어로 되어 있는데 미국이나 영국에서 말하는 'apartment'는 한국에서 사용하는 의미와 달리 개인이 소유한 집이 아닌, '임대용 공공주택'을 뜻한다. 와이셔츠: 영어권에서는 그냥 shirts나 dres.. 2020. 11. 27.
주소표기로 본 차이 주소표기로 본 한국어와 영어의 차이 우리나라 사람들에게 영어로 주소를 물으면 다들 자기 집 주소도 기억하지 못하는 사람처럼 한참 동안 고민한다. 머릿속에서 일단 우리말로 주소를 생각하고 그것을 끝에서부터 뒤집어 역순으로 말하기까지 상당한 시간이 걸리기 때문이다. 외국인이 보기에는 자기가 사는 집의 주소를 즉각적으로 말하지 못하는 모습이 이상해 보일지 모르지만, 우리 입장에서는 정반대의 순서대로 주소를 표기하다 보니 헷갈리는 것이 충분히 이해가 된다. 주소 표기의 경우 우리는 큰 단위에서부터 시작하지만 영어로는 내가 서 있는 곳에서부터 밖으로 한 단계씩 확장해 나가기 때문이다. 영어는 우리말과 달리 가장 가까운 것을 주어로 삼아 의미를 확장해나가는 순서를 철저히 지킨다. ‘주어에서부터 순서대로’라는 규칙만.. 2020. 11. 21.
식사 문화로 본 차이 식사 문화로 본 한국어와 영어의 차이 식사하는 방식만 봐도 차이가 크다. 우리는 한 상 떡하니 차려놓고 먹는 반면, 영어 원어민은 음식이 나오는 순서대로 하나씩 먹는다. 식생활 문화는 언어 문화와 일맥상통하는 부분이 많다. ‘은/는/이/가’, ‘을/를’ 같은 조사가 발달한 우리말의 경우, 조사가 내비게이션 역할을 해 단어를 문장 어디에 가져다놓아도 그 역할과 뜻을 파악할 수 있다. 예컨대 우리말은 ‘지하철은 약속 시간을 정확하게 지켜준다’, ‘약속 시간을 지하철은 지켜준다 정확하게’, ’정확하게 지켜준다 약속 시간을 지하철은’ 처럼 순서를 어떻게 바꾸든 이해하는 데는 지장이 없다. 한 상에 여러 음식이 정해진 위치나 순서 없이 차려져도 뭐가 밥이고 국이고 반찬인지 헷갈리지 않는 것과 비슷한 이치라고 하겠.. 2020. 11. 21.
한국어와 영어 어순의 차이 한국어와 영어 어순의 차이 사고방식을 알면 영어의 법칙이 보인다. 한국인이 다른 나라 사람들에 비해 영어 공부를 덜 할까? 그렇지 않다. 유치원 때부터 대학생까지, 그리고 성인이 되어서도 영어 공부를 손에서 놓지 못한다. 이토록 열심히 하는데도, 엄청난 시간과 돈을 투자하는데도 왜 한국인은 영어 실력이 낮을까? 가장 큰 이유는 기본적인 ‘언어 구조의 차이’ 때문이다. 영어와 한국어는 언어 구조가 많이 다르기 때문에 영어 원어민이 한국어를 배우기도 어렵고, 반대로 한국인이 영어를 배우기도 어렵다. 필자의 한 영어 원어민 친구는 대학 어학당에서 몇 년 동안 한국어를 배웠지만 실력이 별반 나아지지 않자 ‘내가 멍청한가’라는 생각이 들었다고 고백했다. 미국의 외교연구원에서 미국인이 배우기 어려운 정도에 따라 세.. 2020. 11. 21.
동 · 서양의 사고방식의 차이 동 · 서양에 따른 문화와 사고의 차이 리처드 니스벳은 『생각의 지도』라는 책에서 동 · 서양 문화와 사고의 차이에 대해 재미있는 사례를 제시하고 그 이유를 설명한다. 아래 내용을 읽으면서 나는 어떤 방식의 사고를 하는지 살펴보자. 서너 살 된 자녀를 키우는 일본 엄마와 미국 엄마가 있다. 장난감 자동차를 두고 자녀와 대화를 한다. 먼저 일본 엄마와 아이의 대화. "자동차가 빵빵하고 가네. 붕~ 붕~." 미국 엄마와 아이의 대화. "이건 자동차의 바퀴야. 이건 초록색이고." 이 차이는 무엇일까? 또 다른 사례를 찾아보자. 한국인들이 자신과 관련한 이야기를 할 때는 '우리 가족은~', '우리 학교는~'이라고 하지만 미국인들은 'My family~', 'My school~'이라고 한다. 이 차이는 무엇일까?.. 2020. 11. 19.
728x90